본문 바로가기

Life View

재산세 계산 하는법 설명

우리나라 사람은 예외없이 국가에 반드시 내야하는 세금들이 있는데 그중에 재산세라는 것이 있습니다.

재산이 있는 사람이라면 내야하는 세금인데 대부분이 부동산과 관련된 부분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특히나 우리나라에서는 부동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너무나도 크다보니 재산세에 대한 관심도 매우 높습니다.

하지만 이런 세와 관련된 부분에서 어려움을 겪으시는 분들이 많은데 재산세 계산 하는법을 설명해드릴까 합니다.

 

 

먼저 재산세란 도대체 어떤것인지 그 정의와 항목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부동산과 건축물 그리고 좀 생소할 수 있지만 항공기와 선박을 보유하고 있다면 내야하는 세를 재산세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재산세는 하반기인 6월 1일을 기준으로 하는데 해당 날짜에 소유하고 있는 사람이 누군지를 기준으로 합니다.

 

 

이제 실제 재산세 계산 하는법을 설명해드릴텐데 재산세는 세율 x 과세표준 으로 산출이 됩니다.

여기서 과세표준이란 건축물인지 주택인지 혹은 항공기인지 선박인지에 따라서 또 나누어집니다.

 

 

 

 

기본적인 안내해드린 기준을 참고하여 재산세는 과세표준과 세율의 곱으로 구할 수 있는데 추가적인 항목이 있습니다.

실제로 내게 되는 재산세는 이보다 더 많은데 왜냐하면 도시지역분과 지역자원시설세와 지방교육세가 붙기 때문입니다.

 

 

이 모든 항목들을 합친 것을 우리가 내게되는 재산세라고 보시면 이해가 되실 것입니다.

여러가지 수식이 오고가 복잡하다보니 힘들어하실 수도 있는데 그러시면 이곳 에서 좀 더 간단하게 계산을 해보세요.

 

 

주택에 대한 재산세만 계산이 가능하지만 그래도 도움이 되실 분들이 많지 않을까 싶어 소개해드립니다.

최대한 쉽게 설명을 해드리려고 해봤는데 워낙 세금쪽이 복잡하다보니 어려우실 수도 있지 않나 싶습니다.

그렇지만 재산세라는게 워낙 중요한 것중에 하나이다보니 어렵더라도 정확하게 알고 가셨으면 좋겠습니다 ^^